
어깨충돌증후군은 어깨 통증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, 특히 활동적인 성인에게 자주 발생한다.
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어깨질환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,
대표적인 질환이 유착성 관절낭염, 석회성건염, 회전근개파열, 어깨충돌증후군 등이 있다.
그 중 어깨 충돌증후군은 어깨관절 내 구조물이 반복적으로 충돌하면서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상태를 말한다.
어깨충돌증후군의 주된 원인은 반복적인 어깨 사용과 구조적 문제이다.
특히, 팔을 자주 들어올리거나 어깨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직업군에서 이 질환이 자주 발생한다.
예를 들어, 운동선수, 건설업 종사자, 요리사 등이 있다. 또한, 나이가 들면서 관절의 퇴행성 변화가 발생하고,
이로 인해서도 어깨관절 내 구조물이 충돌하게 된다.
이 질환의 주요 증상으로는 어깨의 통증, 팔을 들어올릴 때의 불편함, 그리고 특정 각도에서의 통증이 있다.
통증은 대개 어깨 앞쪽이나 측면에 느껴지며, 밤에 더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.
또한, 팔을 들어올리거나 물건을 옮길 때 통증이 증가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다.
어깨충돌증후군의 진단은 주로 신체검사와 영상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.
의사는 환자의 병력과 증상 확인후 어깨 가동범위를 체크한다.
이후 X-ray나 MRI 검사를 통해 어깨관절의 상태를 확인하며, 이를 바탕으로 치료 계획을 세운다.
치료 방법은 환자의 증상과 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.
초기에는 비수술적 치료가 권장되고 비수술적 치료로는 물리치료, 체외충격파, 약물치료, 주사치료 있다.
4~6개월 이상 치료해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고 통증이 계속될 경우, 수술적 치료가 고려될 수 있다.
수술적 치료는 관절경 수술을 통해 견봉 성형술이나 견봉하 점액낭 절제술 등을 시행할 수 있고
이 수술은 최소 침습적으로 시행할 수 있어 회복 기간이 짧고 통증이 적은 장점이 있다.
수술 후에는 재발을 방지하기위해 올바른 생활습관을 유지하고 재활치료를 병행하며
어깨의 기능을 회복하고 재발을 예방할 수 있다.
운정 인본병원 김상범 원장은 "어깨충돌증후군은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.
초기에는 비수술적 치료로 충분히 관리할 수 있으며, 수술적 치료를 시행할 경우
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관리와 재활이 필수적이다"고 강조했다.
어깨충돌증후군은 조기에 대처할수록 치료 결과가 좋고,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.
따라서 방치하기 보다는 지속적인 관찰과 관리가 필요하며,
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개인에 맞는 최선의 치료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.
기사원문 : https://www.medisobizanews.com/news/articleView.html?idxno=121930
출처 : https://www.medisobizanews.com